C++로 언리얼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위와 같이 폴더가 생성된다. 여기서 꼭 있어야 하는 파일은 Config, Content, Source, HelloUnrealCode.UProject 가 있다. 앞의 4개를 제외하고 모두 지운 뒤에. UProject파일을 우클릭하여 Generate Code를 클릭하면 생성된다.
꼭 지켜야 하는 순서
1.. UProject파일을 우클릭 후 Generate Code를 클릭하여 파일 생성
2.. sln 파일에 들어가 Games안의 코드를 우클릭하여 빌드한다.
3. 이후. UProject 파일을 클릭하여 언리얼 프로젝트 파일을 실행한다.
언리얼 에디터를 실행하면 콘텐츠 드로어에 C++클래스 폴더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클래스 안에는 Character와 GameMode 두 개의 C++ 클래스가 기본적으로 생성되어 있고, 이후 추가로 C++클래스를 생성하고 싶으면 해당 창에서 우클릭하여 생성할 수 있다.
UPROPERTY = 언리얼 에디터에서 변수를 노출하는 역할.
sm = 해당 경로, 원하는 스태틱 메시의 레퍼런스를 복사하여 넣어주면 된다.
. sln 빌드 이후 언리얼 에디터에 들어가 보면 C++ 클래스에 해당 C++클래스 파일이 생성되는데, 바로 레벨에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우클릭 후 블루프린트 클래스를 생성하여 사용한다.
MoveRect C++ 헤더 파일
열거형 클래스와 switch문을 시용하여 쉽게 움직임을 구현
'Unreal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델리게이트, 컴포넌트 클래스에서의 이벤트 디스패처 호출 (0) | 2023.07.13 |
---|---|
[C++] 언리얼 C++ SwitchTool 생성, 클래스 이름 변경 (0) | 2023.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