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nrealEngine

[UE] 언리얼 콘솔 명령어, UI와 HUD, UMG UI 디자이너

https://microsoft.tistory.com/982

 

UE4 콘솔 명령어 사용 방법 및 자주 사용하는 명령 목록 정리

콘솔 명령의 용도 콘솔 명령의 용도는 주로 다음과 같습니다. 1. 디버깅 정보를 화면에 UI로 표시 ↓ 예 : stat fps / stat unit / stat unitgraph. 얼마나 처리 시간이 걸려 있는지를 표시한다. ↓ 예 : stat par

microsoft.tistory.com


유저 인터페이스와 HUD

게임의 Interface (인터페이스)는 플레이어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사용자에게 지시된 입력을 받는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게임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된다. 하나는 HUD와 메뉴 또는 유저 인터페이스(UI) 다.

HUD는 게임플레이 도중 화면 위에 겹쳐 놓이는 계기판이나 정보를 가리킨다. HUD의 목적은 플레이어에게 점수, 생명력, 남은 시간 등 게임의 현재 상태를 알리는 것이다. HUD는 보통 상호작용 요소가 아닙니다. 

유저 인터페이스는 메뉴와 기타 상호작용형 요소를 말한다. 이러한 요소는 보통 HUD와 매우 흡사하게 화면상에 그려지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월드의 표면 위에 렌더링 되는 게임 월드 자체의 일부가 되기도 한다.

 

⇒ Draw Hud: 한 프레임당 한번 그림을 그린다. 60 fps

요즘 HUD는 유저 위젯을 관리할 때 사용한다.(접근이 쉬움)

 

https://docs.unrealengine.com/4.27/ko/InteractiveExperiences/Framework/UIAndHUD/

 

유저 인터페이스와 HUD

메뉴와 HUD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아티스트와 프로그래머를 위한 정보와 안내서입니다.

docs.unrealengine.com


UMG UI 디자이너

언리얼 모션 그래픽 UI 디자이너 (UMG)는 게임 내 HUD, 메뉴, 기타 인터페이스 관련 그래픽 요소로 사용자에게 보여주고픈 것들을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비주얼 UI 저작 툴이다. UMG의 핵심에는 Widget (위젯)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미리 만들어진 (버튼, 체크박스, 슬라이더, 진행상황 바 등의) 함수 시리즈로, 이들을 조립해서 UI를 만들 수 있다.

 

⇒ 위젯의 종류는 위젯 안에 여러 개의 위젯을 생성할 수 있는 위젯과 하나의 위젯만을 생성할 수 있는 위젯, 위젯 안의 위젯을 생성하지 못하는 위젯으로 나뉜다.

⇒ 앵커 포인트: 위젯의 위치. 부모의 위치를 바탕으로 설정됨. 앵커의 종류에 따라 부모 전체를 채우거나 정가운데에 위치하도록 설정 가능.

⇒ 기본 사용방법

  • 에디터창 우클릭 후 위젯생성 검색. 이후 클래스를 설정하고 Return Value를 드래그 앤 드롭하여 사용한다.

⇒ 입력 텍스트 박스에 숫자가 아닌 다른 문자가 들어올 경우 Left Chop 함수를 사용하여 String을 왼쪽으로 한 칸 움직여 입력받은 문자열을 지운다. 우측은 왼쪽의 비교 기능을 함수로 구현한 것이다.

 

get player Comtroller: 플레이어 정보 가져오기

Set show Mouse cursor: 게임플레이 모드에 들어가도 마우스 커서가 사라지지 않음

Set Input Mode: Player Controller가 어느 위젯에 포커싱 할지 선택.

  • 노말: 평상시
  • 호버: 커서를 올려두었을 때
  • 눌림: 버튼이 눌렸을 때

⇒ z순서가 높은 순으로 위쪽으로 온다. 순서가 같으면 놓은 순서.

좌측: 메뉴 레벨의 월드 세팅

우측: 게임 레벨의 월드 세팅

각각 따로 생성하여 메뉴 레벨에서 게임레벨을 불러오기 위해 다른 HUD클래스를 사용했다.

⇒ 각각의 HUD는 메뉴와 게임의 UMG 클래스를 가리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 메뉴 UMG에서는 3개의 버튼을 사용하는데, play버튼을 누르면 게임 레벨로 넘어가며, option버튼은 3가지의 해상도 버튼을 Hidden 상태에서 Non-Hit-Testable 상태로 변경한 뒤 선택한 해상도로 변경한다. 마지막 Exit버튼을 누르면 게임플레이 모드를 종료한다.

⇒ 게임 레벨에서는 두 개의 버튼(Start. End)을 사용하는데, Start버튼을 클릭하면 Start버튼이 Hidden상태로 변경되며, 뒤에 겹쳐져있던 End버튼이 나타난다. Start버튼을 누르면 Gate가 열리며 시간이 흐르게 되고 이 시간은 중간의 텍스트박스에 시간의 흐름이 나타난다. 그 후 End버튼을 누르면 시간이 멈추고 멈춘 시간이 설정한 조건에 따라 맨 위의 택스트 박스에 성공 혹은 실패의 결과가 출력된다.

 

https://docs.unrealengine.com/4.27/ko/InteractiveExperiences/UMG/

 

UMG UI 디자이너

UI 요소 제작을 위한 UMG, 언리얼 모션 그래픽 사용 안내입니다.

docs.unrealengine.com


게임 흐름 개요

 

https://docs.unrealengine.com/4.27/ko/InteractiveExperiences/Framework/GameFlow/

 

게임 흐름 개요

엔진 시작 및 게임이나 에디터에서 플레이 세션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스입니다.

docs.unrealengine.com